안녕하세요!
숫자만 가득한 회계가 어렵다고 생각하신다면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을 등한시하고 있는 것과 다름없어요. 기본적인 회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경영에 대한 이해, 직장생활에서 손익과 비용에 대한 이해 그리고 주식투자에서도 내가 사려고 하는 회사의 기본적인 분석과 이해의 첫걸음이 됩니다.
재무제표 보는법은 기업체 대표, 프리랜서 및 1인 기업가 그리고 일반 직장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경영이나 회계, 재무팀에 있는 비즈니스맨이라면 누구나 꼭 알아야 할 필수 자료입니다.
자산은 얼마나 있고, 부채는 얼마나 있으며, 회사가 실제로 얼마를 벌었는지를 재무제표 하나로 다 알 수 있어요. 실제 예시를 통해 재무제표에 쉽게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재무제표란 무엇인가요?
재무제표는 기업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공식 문서예요. 병원에 가면 건강검진표가 있듯, 회사도 자산이 얼마나 있고, 빚은 얼마인지, 수익은 얼마나 났는지를 나타내는 문서가 바로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는 크게 재무상태표(Balance Sheet),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로 구성되며, 이 중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만 잘 봐도 회계의 80%는 이해한 거라고 할 수 있어요.
재무제표 보는법 핵심: 자산, 부채, 자본 이해하기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예: 2024년 12월 31일)의 자산, 부채, 자본 상태를 보여줍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이라는 공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회사가 보유한 모든 재산과 그것이 빚인지 순수 자기자본인지 구분해서 볼 수 있어요.
예시로 보여드리는 아래의 간단한 표를 통해서 회계의 기본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 항목 | 금액 (원) |
---|---|---|
재무상태표 | 자산 | 150,000,000 |
부채 | 50,000,000 | |
자본 | 100,000,000 | |
손익계산서 | 매출 | 200,000,000 |
비용 | 140,000,000 | |
순이익 | 60,000,000 |
위 회사는 자산을 1억 5천만 원을 가지고 있고, 이 중 5천만 원은 외부 자금(부채)이며, 나머지 1억 원은 순수한 자본금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자기 돈으로 회사를 운영하는 비율이 1억5천만원의 66%인 1억원이므로 비교적 건전한 재무 구조를 갖고 있죠.
우리나라 대기업 중 우수한 재무구조를 자랑하는 일부 대기업들의 자기자본 비율이 100~200% 수준입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예시로 보여드린 내용은 자기자본 비율 66%의 초우량 기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손익계산서에는 매출이 2억 원이며 이 매출을 달성하기 위해 투자된 비용이 1억 4천만 원입니다. 단순한 개념으로는 남은 금액이 순이익이므로 6천만 원이므로 순수익 비율이 30%나 되는 아주 좋은 기업인 셈입니다.
물론 위 내용은 단순화를 한 것이고 실제 기업회계는 이보다 10배는 더 복잡합니다. 매출에서 비용을 빼면 경상이익이라고 하며 여기에 각종 비용들이 추가로 계산되면서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금액이 순수익이 되죠.^^ 회계의 기본 개념이 이런 형태로 출발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재무제표 보는법 한줄 정리 팁
1. 재무상태표에서는 부채비율, 자산 대비 자본 비중을 먼저 봐야 합니다.
2. 손익계산서에서는 매출 대비 비용 비중, 순이익률을 확인하는 게 핵심입니다.
단순히 매출이 크다고 좋은 회사가 아니며, 자산이 많아도 빚(부채비율)이 많으면 유동성 함정에 빠지게 되므로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업성이 아주 좋은 상태에서도 일시적으로 운영자금이 부족해 부도가 나는 회사들이 비슷한 예가 됩니다. 그래서 재무제표 보는법은 단순 숫자 나열이 아니라 흐름과 구조를 함께 보는 게 가장 중요해요.
재무제표 Q & A
상장기업은 DART(전자공시시스템)에서, 비상장기업은 세무사나 회계사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아니요. 자산보다 부채가 많다면 위험한 상황일 수 있어요. 자산 구성과 부채 비율을 함께 봐야 정확합니다.
순이익이 높아도 일회성 수익이거나 비현금 항목일 수 있어요. 반복 수익인지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조심해야 합니다.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자본보다 부채가 많다면 위험 신호일 수 있어요.

기업회계와 재무상태를 파악하는게 쉽진 않지만 재무제표 보는법의 기본 원칙을 배우면서 조금씩 익숙해져야 합니다. 직장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오래 살아남는 분야가 회계전문가입니다.
숫자만 보면 어렵고 딱딱해 보이지만 그 안에 숨겨진 이야기를 읽어내는 재미있는 분야가 회계입니다. 회사의 자산이 얼마나 있고, 부채는 어느 수준이며, 실제 이익은 얼마인지 직접 확인해보는 습관만 가져도 각종 투자활동이나 회사생활 또는 기업 경영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생각하세요.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뜻과 차이, 한눈에 보는 법 완전 정리 (0) | 2025.03.30 |
---|---|
가지급금 인정이자 뜻, 세무조사 대비 절세 전략 3가지 알아보기~ (1) | 2025.03.28 |
중소기업 정책자금 vs 중진공 정책자금 비교, 어떤 차이가 있을까? (2) | 2025.03.20 |
미처분이익잉여금이란? 이익준비금과 임의적립금과 함께 보는 재무전략 (0) | 2025.03.20 |
2025년 중진공 정책자금 한눈에 정리! 조건, 한도, 신청 절차까지~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