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리소장

퇴직금 세금 계산기, 국세청 홈택스에서 쉽고 빠르게 알아보는 방법!

by 은둔형 외톨이 2025. 3. 11.
반응형

 

혹시 퇴직을 앞두고 있거나 퇴직금을 받을 예정이라면, 가장 궁금한 게 바로 퇴직금에 붙는 세금 문제일겁니다. 솔직히 말해 퇴직금은 일한 만큼 받아야 하는 소중한 돈인데, 세금이 얼마나 나가는지 모르면 손해 볼 수도 있죠.

 

"세금을 얼마나 떼일까?"  

그래서 오늘은 퇴직금 세금 계산 방법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퇴직금 세금 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퇴직금 세금, 왜 떼이는 걸까?

 

퇴직금도 소득이기 때문에 세금이 붙어요. 하지만 일반 급여처럼 소득세를 내는 게 아니라, 분리과세 방식으로 세율이 조금 다르게 적용됩니다.

 

쉽게 말해, 퇴직소득세라는 이름으로 따로 계산되죠. 퇴직소득세는 근속 연수, 평균 급여, 퇴직금 총액 등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즉, 오래 일할수록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예요.

 

 

퇴직금 세금 계산하는 방법

퇴직소득세는 대략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돼요.

 

1. 퇴직소득세 = [(퇴직금 ÷ 근속연수) × 1/N × 세율] - 공제금액

 

2. 근속연수 : 회사에서 일한 총 기간

 

3. N : 근속연수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 (일반적으로 12년 이하면 1, 그 이상은 2)

 

4. 세율 : 국세청 기준에 따라 달라짐

 

5. 공제금액 :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일정 부분 공제

 

이런 계산을 손으로 직접 하기엔 좀 복잡하죠? 그래서 퇴직금 세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훨씬 편리한데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세금 계산기 활용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을 드릴께요.

 

 

 

국세청 홈택스에서 퇴직금 세금 계산기 사용법

 

국세청 홈페이지나 여러 금융 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퇴직금 세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몇 초 만에 정확한 세금을 확인할 수 있어요. 퇴직금 계산 및 소득세액을 알아보는 방법은 여러 사이트가 있지만 그래도 국세청 홈택스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이트로 공식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 2025년도 퇴직 계산기 활용하는법 따라하기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menuCd=index3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위 링크를 누르면 국세청 홈택스로 들어갑니다. 우선 근속연수를 입력하고 퇴직금 총액을 입력합니다. 기타 추가 정보가 있다면 모두 입력해 주세요.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예상되는 세금이 나오고, 실수령액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국세청 홈택스에는 퇴지금 세금 모의 계산기를 활용해서 미리 퇴직금 계산이 가능합니다. 우선 기본사항으로 소득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해 주세요.

 

 

 

퇴직급여 계산에 있어 필요한 용어의 정의와 입력방법을 상세하게 알려주고 있으니 크게 어렵지 않게 입력이 가능합니다. 위 사항을 참조하면서 아래 근무처별 중간지급 퇴직금액을 입력해 주세요.

 

 

 

근무했던 회사별로 근속월수와 근속연수 계산표를 참조하여 계산 방식에 맞게 입력하면 됩니다.

 

 

 

마지막 단계로 퇴직금 세금 계산기로 퇴직소득 세액을 계산하고 납부명세에 따른 농어촌 특별세를 계산합니다. IRP 연금계좌를 활용하는 경우 금액을 계산합니다.

 

 

퇴직소득세 줄이는 방법은?

 

퇴직금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있어요. 퇴직연금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넣으면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오래 일을 할 수록 세금 부담이 낮아지기 때문에 근속연수를 늘리는 것도 필요하고 퇴직할때 한번에 받는 것보다는 연금 형태로 나눠 받으면 세율이 낮아질 수 있어요.

 

퇴직금을 받을 때 예상 세금을 미리 알아두면 더 효율적으로 자금을 관리할 수 있어요.

퇴직금 세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세금 계산 없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니 꼭 한 번 사용해 보세요!

반응형